전통음악부터 퓨전음악까지 변화무쌍 "해금" > 다양한 음악이야기

로그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본문

전통음악부터 퓨전음악까지 변화무쌍 "해금"

  • 작성자 :
  • 뮤직브레일
  • 분류 :
  • 클래식
  • hit :
  • 573

전통음악부터 퓨전음악까지 변화무쌍 "해금"

해금의 구조

해금은 유라시아대륙 북방 유목민의 마상 악기가 한반도로 유입된 것이며, 고려시대부터 한국 문헌에 등장하기 시작한다. 고려 후기와 조선시대를 거치며 꾸준히 한국악기화하여, 전통음악의 핵심 선율악기 중 하나로 정착했습니다.

해금의 구조와 명칭을 알아보겠습니다.
1. 몸통
해금의 몸통은 줄을 활로 켰을 때 줄의 공명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해금의 몸통은 대나무로 만든 공명통, 얇게 다듬은 오동나무로 만든 복판, 해금의 줄을 고정시키는 감잡이(감자비), 감잡이를 공명통 하단에 고정시키는 주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복판 위에 원산을 놓아 브리지 역할을 하게 합니다.
1) 공명통과 복판
해금통이라고도 하는 해금의 공명통은 음량과 및 음색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인데요. 공명통은 직경 8~12cm의 대나무의 뿌리나 대통 부분을, 마디를 중심으로 위아래가 4:6쯤 비율이 되도록 잘라 만듭니다. 대통 부분으로 만든 것을 ‘갈통 해금’, 뿌리 부분으로 만든 것을 ‘원통 해금’이라 하는데, 연주자들은 원통 해금을 선호합니다. 요즘은 일반 나무를 깎아 만들기도 합니다.
공명통 뒤쪽은 뚫린 채 두고 앞쪽은 복판으로 막습니다. 복판은 오동나무를 얇게 다듬어 만드는데, 복판은 중앙이 가장 두껍고 가장자리로 갈수로 얇게 깎아, 전체적으로 볼록한 모양입니다..
2) 감잡이(감자비)와 주철
해금의 감잡이는 한자로 감자비라고도 씁니다.. 갑잡이는 해금의 몸통에 꽂은 입죽을 고정하고 두 줄을 매도록 몸통 하단에 부착하며, 금속으로 만듭니다.. 과거에는 은이나 두석으로 겉을 씌우고 실로 감아 매기도 하였는데요, 현재는 황동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하며, 다양한 문양을 새겨 화려하게 장식하기도 합니다.
해금의 몸통을 수직으로 관통한 입죽이 감잡이와 만나는 부분은 주철을 끼워 고정합니다.. 주철은 단면이 둥근 쇠막대기로, 몸통 하단의 감잡이 한가운데 난 구멍부터 위로 수직으로 꽂아 넣어 몸통 하단 구멍을 지나 입죽 하단에 끼웁니다. 주철의 밑부분에는 수평 방향으로 홈을 파서 감잡이 구멍과 맞물려 몸통에 고정되게 합니다.
3) 원산
해금의 원산은 현악기의 브리지(Bridge)에 해당합니다. 원산은 해금의 복판에 수직으로 세워 복판과 줄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주고, 줄을 활로 켤 때 발생하는 진동을 몸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원산은 흑단, 대추나무 등 단단한 재질로 제작하며, 두께나 재질에 따라 해금의 음량과 음색이 달라집니다. 원산이 두꺼우면 현의 진동이 덜 전달되어 음량이 줄어드는 반면 음색은 부드럽고 묵직해지며, 원산이 얇으면 미세한 진동까지 잘 전달되어 가볍고 큰 소리를 냅니다. 또 원산을 복판 중앙 가까이 놓으면 음량이 커지고, 복판 가장자리에 놓으면 음량이 작아집니다.
2. 입죽과 주아
1) 입죽
해금의 입죽은 공명통에 수직으로 꽂아 세우는, 길이 약 55cm, 지름 약 2cm 안팎의 대나무 기둥인데요. 입죽의 상단 바로 아래에 두 개의 주아를 꽂아 줄을 걸고, 주아보다 위쪽은 휘게 해 놓았습니다.
2) 주아
해금의 주아는 줄감개입니다. 해금의 입죽 상단 가까이에 위 아래 두 개의 주아를 수평으로 나란히 꽂고, 주아마다 하나씩 줄을 감아 고정하고, 주아를 돌려 줄을 조이거나 풀어 조율합니다.
3. 줄(현)
해금의 줄은 명주실(비단실)을 꼬아 만들며, 두 줄 중 굵은 쪽이 중현, 가는 쪽이 유현입니다.
줄은 감잡이에서 시작해 몸통의 복판에 올려져 있는 원산 위를 지나 입죽 끝의 주아로 연결되는데요. 왼쪽 무릎 위에 악기를 올렸을 때 연주자 기준으로 오른쪽인 안쪽에 중현, 왼쪽인 바깥쪽에 유현이 위치하기 때문에 중현을 안줄, 유현을 바깥줄 또는 겉줄이라고도 부릅니다. 중현과 유현 사이에 활의 활총 부분이 위치합니다.
4. 활
해금의 활은 악기 줄을 마찰하여 소리를 내는 기능을 하며, 활대에 활총을 매단 것입니다.
해금의 활대(Frame)는 활총을 지지하여 장력을 유지하는 막대입니다. 활대는 대나무를 잘라 만드는데요. 활대의 ‘활’은 이름에서 보듯 무기 또는 사냥도구인 활에서 왔습니다. 조선시대 해금의 활대는 무기 활처럼 등이 굽은 원호 형태였으나, 요즘은 곧은 활대를 씁니다.
해금의 활총(Hair)이 실제 줄을 비비는 부위입니다. 활총은 말의 꼬리털인 말총(horsehair)을 꼬아 만드는데, 해금은 바이올린족 악기들이나 다른 나라의 궁현악기들과 달리 활총을 느슨하게 맵니다. 활대 한쪽 끝에 활총 한쪽 끝을 매고, 다른 쪽 끝에는 직접 활총을 매는 것이 아니라 사이에 반 뼘 정도 길이의 가죽띠 손잡이를 매단 뒤 여기에 활총의 나머지 끝을 맵니다. 활질을 할 때는 이 가죽 손잡이를 움켜쥐듯 잡아, 손 모양으로 활총의 인장 방향(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과 장력을 조절합니다.
해금을 연주할 때는 마찰력을 높이도록 활총에 송진(rosin)을 바릅니다. 송진의 양에 따라 음색과 손맛이 달라지는데요. 송진을 많이 바르면 묵직하고 풍부한 음색이 나지만, 너무 많으면 음색이 거칠어지고 활로 줄을 켤 때 활총의 움직임이 매끄럽지 못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송진을 적게 바르면 깔끔하고 매끄러운 소리가 나지만, 너무 적으면 음량이 작아지고 줄을 켤 때 활총이 밀리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해금은 활총을 두 줄 사이에 끼워 연주하며, 연주를 하지 않을 때도 활총이 끼워진 상태로 활대를 입죽과 평행이 되도록 하여 악기를 바닥에 뉘어 놓습니다.

해금은 독특한 음색으로 특히 여성에게 많은 사랑을 받는 악기인데요. 전통 국악 연주 뿐만 아니라 요즘은 퓨전음악에서도 연주되고 있습니다. 특히 구슬프면서도 마음을 울리는 연주로 감동을 주고 있는데요.

하울의 움직이는 성 OST의 "인생의 회전목마"와, "나 가거든" 두 곡을 들어보시겠습니다.

-인생의 회전목마/하울의 움직이는 성 OST

-나 가거든


  • 답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